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

공무원 육아휴직 전 기간, 승진경력 인정 - 출산·양육 전보 완화, 업무대행수당 지급대상 확대, 「공무원임용령」 및 「공무원 임용규칙」개정안 1월 시행 - 공무원 육아휴직 전 기간, 승진경력 인정 - 출산·양육 전보 완화, 업무대행수당 지급대상 확대, 「공무원임용령」 및 「공무원 임용규칙」개정안 1월 시행 -   앞으로 자녀당 최대 3년까지 쓸 수 있는 공무원 육아휴직의 전체 기간을 승진경력으로 인정한다. 근무 지역이나 기관을 정해서 채용된 구분 모집자도 출산이나 양육을 위한 사유라면 필수보직기간이 지나지 않더라도 전보가 가능해진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무원임용령」 개정안이 3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 10월 인사처가 발표한 ‘인사 자율성 제고 종합계획’의 후속 조치로, 내달 초 공포 후 즉시 시행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자녀와 관계없이 육아휴직 기간 전체를 승진.. 2025. 1. 1.
2025년 전체 공무원 봉급표(전체 3% 인상 / 7급 이하 저연차 공무원 추가 인상률 포함) 출처 : 인사혁신처 2025년 전체 공무원 봉급표(전체 3% 인상 / 7급 이하 저연차 공무원 추가 인상률 포함) 출처 : 인사혁신처    2025년 전체 공무원 보수가 전년 대비 3.0% 인상된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처우 수준이 낮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7급 이하 저연차 실무 공무원의을 대상으로 추가 인상률을 적용했다.  9급 초임(1호봉) 봉급액을 전년 대비 6.6% 인상*하는 등 7~9급(상당) 일부 저연차 공무원의 봉급을 추가로 인상한다.  이를 통해 9급 초임 봉급은 처음으로 200만 원을 넘게 된다. * 9급 초임(1호봉) 봉급인상률 6.6% = 공통인상분 3.0% + 추가인상분 3.6% 이러한 추가 처우개선을 반영한 2025년 9급 초임(1호봉) 보수(봉급+수당)는 연 3,222만원.. 2025. 1. 1.
2025년 공무원 봉급 보수 결정 완료(7급 이하 저연차 6.6% 등 인상률 차등 적용) 출처 : 인사혁신처 2025년 공무원 봉급 보수 결정 완료(7급 이하 저연차 6.6% 등 인상률 차등 적용)   1. 공무원 봉급 인상 배경공직자의 사기를 유지하고 우수한 인재를 공직으로 유입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인 공무원봉급은  최근 몇 년간 물가 상승률보다 적게 올라  실질임금이 삭감되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습니다.  2023년 인사혁신처에서 발표한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83.1% 수준입니다.  이 마저도 수당이 높은 경찰, 소방을 제외하면 70%대 수준입니다.  민간 부문의 급여 인상률에 비해 공무원 봉급 인상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면서 하위직 공무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고조되어 퇴사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7급 이하 저연차 공무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와 업무 강도, 그리고 악성 민원 등으로 인해 .. 2024. 12. 31.
1월에 방문하기 좋은 국내 여행지 5곳과 지역 특성 1월에 방문하기 좋은 국내 여행지 5곳과 지역 특성  1. 강원도 평창 - 눈꽃 세상과 겨울 스포츠의 천국강원도 평창은 1월에 방문하기 가장 적합한 겨울 여행지 중 하나입니다. 해발 700m 고원의 맑은 공기와 수려한 자연 경관은 물론, 겨울철 눈꽃과 얼음으로 뒤덮인 풍경이 일품입니다. 평창에서는 대관령 양떼목장의 새하얀 설원을 걸으며 낭만적인 겨울의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스키와 스노보드 애호가에게는 알펜시아 리조트와 용평 리조트가 최고의 선택입니다. 이곳에서는 수준 높은 시설에서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야간 스키를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감상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평창송어축제는 얼음낚시, 썰매타기, 송어 회와 구이 체험을 제공해 가족 단위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겨울 이벤트입니다.  2.. 2024. 12. 31.
(영상) 2025년 1월부터 인상되는 공무원 수당 안내(출처 : 인사혁신처) 첫째, 저연차 정근수당이 인상됩니다 1년 미만  미지급 -> 10% 지급 2년 미만  5% 지급 -> 10% 지급 3년 미만  10% -> 20% 지급 4년 미만  15% -> 20% 지급 저연차 공무원의 사기진작 및  장기재직 장려 차원에서 인상되었습니다. 둘째, 자녀 가족수당이 인상됩니다 첫째 3만원 -> 5만원 (2만원 상승) 둘째 7만원 -> 8만원 (1만원 상승) 셋째 11만원 -> 12만원으로 (1만원 상승) 초저출산 극복을 위해 첫째 자녀를 중심으로  가족수당 지급액이 인상되었습니다. 셋째, 업무대행수당 지급 범위가 확대됩니다 재난 대응 관련 출장 파견시 업무대행자 수당 지급 근거가 신설되었습니다 넷째, 9급 상당 공무원의  시간외 근무수당 지급단가가 인상됩니다 공무원의 시간외근무수당 감액조.. 2024. 12. 26.
(카드뉴스) 2025년 1월 인상 공무원 수당 안내(출처 : 인사혁신처) (카드뉴스) 2025년 1월 인상 공무원 수당 안내(출처 : 인사혁신처) 2025년 1월부터 인상되는 공무원 수당 안내합니다.  출처 : 인사혁신처첫째, 저연차 정근수당이 인상됩니다 1년 미만  미지급 -> 10% 지급 2년 미만  5% 지급 -> 10% 지급 3년 미만  10% -> 20% 지급 4년 미만  15% -> 20% 지급 저연차 공무원의 사기진작 및  장기재직 장려 차원에서 인상되었습니다.둘째, 자녀 가족수당이 인상됩니다 첫째 3만원 -> 5만원 (2만원 상승) 둘째 7만원 -> 8만원 (1만원 상승) 셋째 11만원 -> 12만원으로 (1만원 상승) 초저출산 극복을 위해 첫째 자녀를 중심으로  가족수당 지급액이 인상되었습니다.셋째, 업무대행수당 지급 범위가 확대됩니다 재난 대응 관련 출장 파.. 2024. 12. 26.
반응형